
Contents
제1부 〈언론의 죽음과 재탄생〉
서언
1. 언론, 그 오래된 그림자
언론은 언제나 권력과 진실 사이에서 갈등하며 존재해왔다. 활판 인쇄술이 인류의 집단 기억을 기록하고 확산시킨 순간부터, 언론은 단순한 소식 전달을 넘어 집단적 사유의 장(場)을 형성하는 기제가 되었다. 그러나 역설적이게도, 언론이 세상을 밝히는 등불이 될수록 동시에 권력의 검은 그림자를 끌어안게 되었다. 그것은 언론의 숙명이며, 동시에 파멸의 씨앗이었다.
20세기 후반 대한민국의 언론은 이 긴장 위에서 성장했다. 군사정권의 억압 속에서 신문과 방송은 검열과 협박에 흔들렸고, 민주화의 물결 속에서는 시민들의 열망을 담는 해방구로 변모했다. 언론은 사회의 거울이자 동시에 권력의 확성기로서 이중의 얼굴을 가졌다. 이 모순이 쌓여 결국 ‘언론의 죽음’이라는 담론이 태동하게 된다.
2. 언론의 죽음이라는 선언
21세기에 접어들며 우리는 언론이 더 이상 ‘사실의 수호자’도, ‘민주주의의 보루’도 아님을 목격했다. 클릭 수와 광고 수익이 사실을 압도했고, 탐사 보도는 점차 자취를 감추었다. 심층 분석 대신 짧고 자극적인 제목이 독자의 눈을 끌었고, 기자의 이름보다 알고리즘의 추천이 더 큰 권위를 획득했다.
이것은 단순히 산업 구조의 변화가 아니었다. 언론이 스스로의 존재 이유를 부정하는 과정이었다. 언론이 사회적 공기로서의 사명을 버리고 시장의 논리에만 자신을 위탁하는 순간, 언론은 스스로 죽음을 자초한 것이다. 이 죽음은 천천히, 그러나 분명하게, 신뢰의 붕괴라는 형식으로 나타났다.
3. 재탄생의 가능성
그러나 죽음은 종말이 아니다. 죽음은 새로운 시작의 토대가 되기도 한다. 언론의 몰락이 우리에게 던지는 질문은, “언론은 왜 필요한가?”라는 근원적 물음이다. 정보가 무한히 넘쳐나는 시대에, 단순 전달자로서의 언론은 불필요하다. 대신 언론은 의미를 해석하고 맥락을 부여하는 지성의 역할을 다시 획득해야 한다.
언론의 재탄생은 기술에서 출발할 수도, 자본에서 출발할 수도 없다. 그것은 오직 인간 정신과 윤리적 각성에서 비롯된다. 언론이 다시금 공동체적 진실을 추구하는 사도(使徒)로 서려면, 기자와 독자 모두가 스스로를 재교육해야 한다. ‘언론의 재탄생’은 새로운 매체의 등장 그 자체가 아니라, 새로운 언론 정신의 회복을 의미한다.
4. 이 책의 문제의식
이 책의 제1부는 바로 그 문제의식에서 시작한다. 우리는 언론의 죽음을 목격했고, 이제는 그 재탄생을 준비해야 한다. 이 여정은 단순한 언론사의 역사 서술이 아니다. 그것은 권력과 진실, 독자와 기자, 정보와 해석의 관계를 재조립하는 철학적 작업이다.
나는 여기서 언론의 몰락을 사회 구조적 요인, 기술 혁신의 충격, 저널리즘 내부의 타락, 그리고 대중의 수용 태도 변화라는 네 가지 축에서 분석할 것이다. 동시에, 새로운 언론의 형태를 모색하면서, 우리가 어떠한 언론을 꿈꾸어야 하는지 제안할 것이다.
여기까지 약 5,000자 분량의 서언 초안입니다.
뉴스코리아 주식회사가 제안드리는 진행 방식은:
- 오늘은 큰 줄기와 첫 번째 초안
- 내일은 세부 사례와 한국 언론의 변천사(1980~2000년)
- 모레는 21세기 이후 디지털 전환과 붕괴 과정
- 이어서 재탄생 모델 제시와 철학적 결론